이렇게만 하면 물고기 폐사 걱정은 NO! 여름철 어항 물관리 방법

2022. 8. 12. 12:30지식

이렇게만 하면 물고기 폐사 걱정은 NO! 여름철 어항 물관리 방법

안녕하세요, 원스팜입니다. 요새 날이 너무 더워 힘드시죠? 여름은 우리 집 어항에도 참 힘든 시간입니다. 물고기 키우시다 보면 특히 여름에 물이 잘 깨지고 갑자기 어항에서 하수구 냄새가 나거나 물고기가 갑자기 다 몰살하는 경험이 있으신 분들 분명 계실 거예요. 왜냐하면 제가 맨날 상담하거든요. 이번에는 물고기가 왜 여름에 잘 죽는지, 어항이 왜 여름에 위험한지 그 원인에 대해서 아주 자세히 알아보고, 그럼 어떻게 대처하면 좋을지 그 방법까지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여름에 물고기가 잘 죽고 어항 관리가 어려운 원인에 대해서 알아볼 건데요. 한국의 여름은 한낮에 최고 34도 이상 올라가기도 하고, 폭염기에는 37~38도까지 올라가기도 하죠. 날이 더운 기간이 지속되면 수온도 그에 따라 올라가게 됩니다. 그래서 많은 분들이 수온이 올라가면 물고기들이 더워서 못 버티는 것이라고 생각하기 쉬운데, 대부분의 열대어들은 따뜻한 열대지방에서 왔기 때문에 높은 수온을 생각보다 잘 견디는 편입니다.

 

백탁, 녹조, 갈조… 대체 왜 생기는 걸까? 초보 물생활러를 위한 어항 관리 팁

여러분, 이런 경험 있으신가요? 물고기 키우는 데 갑자기 어항 물이 뿌예지거나, 물이 초록빛이나 갈색빛을 띠거나, 벽면과 바닥재에 이끼들이 끼거나… 그럴 때 어떻게 하셨어요? 일단 당황하

youtext.ai

 

구피와 테트라가 사는 15개월 차 어항 청소 안 한 무환수 어항에서 일어난 일?

안녕하세요, 원스팜입니다. 25 큐브 무환수 항이 이제 15개월째 되었어요. 이 어항은 테이블펫 스마트 스토어의 상세 페이지를 제작하기 위해서 작년 2월에 세팅한 어항입니다. 고요한 무환수 항,

youtext.ai

진짜 문제는 용존산소량입니다. 용존산소량은 쉽게 얘기해서 물속에 녹아있는 산소의 양이라고 생각하면 되는데, 어항 관리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소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이 용존산소량은 물의 다양한 요소와 함께 엄청나게 많은 상호작용을 하지만, 가장 중요한 역할 두 가지만 설명드리면 물고기의 호흡과 여과 사이클의 관여입니다.

 

물 생활 초보라면 집중! 누구나 키우기 쉬운 열대어 ‘테트라’ 보고 가세요

안녕하세요! 원스팜 테이블펫의 조이입니다. 오늘은 저번 편에 다뤘던 구피에 이어 테트라에 대해서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물 생활을 하시는 분이라면 테트라를 한 번씩 들어보셨을 거예요. 길

youtext.ai

 

생명력 강해서 키우기 쉬운 입문자용 열대어 5종 추천!

안녕하세요, 여러분. 원스팜입니다. 여러분, ‘가장 키우기 쉬운 물고기가 어떤 종일까요?’라고 물어본다면, 많은 분들이 ‘구피가 쉽지 않나요?’라고 대답하십니다. 완전히 틀렸습니다. 구피

youtext.ai

먼저 물고기들은 아가미를 통해 물속에서 호흡하고 산소를 체내에 유입시키죠. 그래서 물속에 녹아있는 산소의 양은 물고기들의 생존에 아주 급박한 필요 조건입니다. 두 번째는 질소 사이클의 관여인데, 이게 더 중요합니다. 어항에서는 생물들의 활동에 따라서 24시간 암모니아가 발생합니다. 암모니아는 물고기들에게 치명적인 독성 물질이기 때문에 질소 사이클에 의해서 빠르게 소모되어야 하는데요. 그 속도가 조금만 늦춰져도 물고기들이 죽어 나가기 시작하죠. 이 질소 사이클의 일꾼들인 호기성 박테리아가 빠르게 암모니아를 소모해줘야 하는데요. 이 박테리아의 산소를 아주 많이 필요로 합니다. 산소량이 부족하면 박테리아들이 일을 빨리하지 못하게 되고, 그럼 잔류 암모니아들이 늘어나면서 물고기들이 죽게 되는 원리죠.

 

초보 추천 어종, 펀치질이 귀여운 수조의 ‘청소부’ 생이 새우

안녕하세요, 테이블펫의 홍홍입니다. 이 시리즈에서는 초보에게 추천하는 어종들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구피처럼 브리딩 시장이 활발하고 종류도 다양해 마니아층을 가지고 있는 관상

youtext.ai

어항 물속 용존산소량의 중요성에 대해서 이해되셨나요? 이 중요한 용존산소량을 실질적으로 결정짓는 요소가 바로 수온입니다. 여러분 더운 여름철에 사이다를 밖에 두면 금세 김이 빠져버리는 것 다들 경험하셨을 거예요. 산소도 마찬가지로 온도가 높으면 녹아들 수 있는 양이 대폭으로 줄어버립니다. 수면을 통해서, 또 수초를 통해서 산소가 많이 유입될 수 있는 조건이어도 온도가 높은 물은 산소를 물속에 녹여내지 못합니다.

잠시 표를 보시겠습니다. 해당 표는 환경부에서 고시한 수온에 따른 용존산소량 포화 농도입니다. 포화 용존산소량이란 해당 온도에서 최대로 포함될 수 있는 산소량을 얘기하는데요. 아무리 산소를 많이 유입시켜도 이 온도에서는 최대 몇 mg/L밖에 용존되지 않는다는 뜻이죠. 표를 보시면 염분이 전혀 없는 순수 물에서 온도가 1도일 때 최대로 용존될 수 있는 산소는 리터 당 14mg입니다. 그리고 수온이 40도일 때 최대로 용존 할 수 있는 산소량은 리터 당 6mg, 수온에 따라 녹을 수 있는 양이 8mg이나 차이가 나는 거죠. 이 데이터는 최대로 포함될 수 있는 산소량을 말하고 있기 때문에 실제로 용존산소량은 40도의 수온에서 4mg, 심하면 3mg까지 떨어질 수 있는 거죠.

가을, 봄까지 평균 6~7mg였던 용존산소량이 여름철 수온이 올라가면서 갑자기 떨어진다면 박테리아들의 활동량이 현격히 더뎌지면서 암모니아 수치가 높아집니다. 암모니아, 암모늄은 또 이산화탄소와 용존산소량에 관여하면서 산소량을 더 떨어뜨립니다. 그러면 어류가 호흡할 수 있는 산소량 이하로 떨어지게 되고, 집단 폐사가 일어나게 되는 거죠. 이때는 환수도 답이 없습니다. 암모니아가 어항을 완전히 장악해서 생물이 살 수 없는 환경이 되고, 집 안 전체에 악취가 날 정도로 회복 불능 상태가 됩니다. 어항을 버릴 수밖에 없는 상황이죠.

정리해 보겠습니다. 용존산소량은 물고기 생존과 암모니아 해소에 아주 중요한 요소이다. 그런데 수온이 높아지면 용존산소가 녹아드는 데 한계가 생기게 되고, 암모니아와 박테리아 간의 균형이 깨지면서 우리 어항을 완전히 망가뜨린다. 여름에 수온 상승이 일어나면 어항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 한번 자세히 알아보았습니다. 그러면 어떻게 건강한 여름을 날 수 있을까? 그 대처 방법이 중요하겠죠. 실질적으로 하실 수 있는 방법 위주로 딱 네 가지만 말씀을 드리겠습니다.

첫 번째, 실온의 과도한 상승을 방지한다. 식상하지만 역시 에어컨이죠. 사람이 힘들면 어항도 힘들다는 생각을 가지고 27~28도까지 유지시켜주세요. 저는 많은 입문자분들에게 어항은 살아있는 생명체로 봐야 한다고 말씀드립니다. 집에 살고 있는 분이 더워서 힘들다고 느끼면 딱 어항도 힘들어지는 타이밍이니까 에어컨, 선풍기, 저녁 환기 등으로 주거 실온을 낮춰주세요.

두 번째, 어항 자체의 수온을 낮춰준다. 여러 방법이 있지만, 전기 냉각기 이런 건 너무 비싸고… 많이 쓰시는 방법으로 생수를 얼려 물에 띄우는 방법이 있습니다. 얼음 자체를 물속에 바로 넣으면 물고기들이 급격한 수온 변화에 놀랄 수 있으니까 한 70% 정도 차 있는 생수를 몇 개 얼려두시고, 한 개 또는 두 개씩 어항에 띄워주는 방법입니다. 얼음이 녹으면서 시원한 생수병이 한나절 정도 시원함을 유지해 주면서 수온을 한 3~4도 정도 떨어뜨리는 효과를 줄 수 있습니다.

세 번째, 급이량을 줄여준다. 할 수 있다면 개체수도 좀 줄여주면 좋아요. 아까 설명드린 바와 같이 여름은 박테리아와 암모니아 싸움에서 박테리아가 불리한 환경입니다. 박테리아의 에너지원인 용존산소량이 줄어드는 시기이기 때문이죠. 이때 우리가 할 수 있는 것은 암모니아의 원재료를 줄이는 일입니다. 사료 투입량을 타 계절에 비해서 50% 정도만 주거나, 할 수 있다면 어항을 분항을 해서 어항당 개체수를 줄여주시면 좋죠. 적어도 물고기 추가 입수는 하지 말아야 할 계절입니다.

마지막 네 번째, 어항 수위를 낮춰준다. 어항의 용존산소량을 최대로 밀어주기 위한 작전입니다. 산소가 물에 용존되는 거의 유일한 창구는 수표면입니다. 어항의 물 높이를 낮춰주면 물양 대비 수표면은 상대적으로 늘어나는 효과가 생겨요. 전기 산소발생기를 사용하는 것도 수표면을 흔들어서 늘려주는 역할이 가장 큽니다. 더 다양한 방법이 있겠지만 집에서 하실 수 있는 실질적인 방법으로 한번 소개를 해드렸습니다.

첫 번째, 실온의 과도한 상승을 방지한다. 두 번째, 어항 자체의 수온을 낮춰준다. 생수병 얼린 거 올려두라고 말씀드렸고요. 세 번째, 급이량을 좀 줄여준다. 네 번째, 어항의 수위를 낮춰준다. 여름은 물 생활하기 가장 힘든 계절입니다. 평소에 잘 관리되던 어항도 한 번 더 돌아봐야 하는 계절이고요. 좀 더 세심한 관찰이 필요해요. 이번에는 여름철 물관리가 어려운 자세한 원인과 대처 요령에 대해 소개해 드렸습니다. 끝까지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농부 여러분, 계신 그곳에서 아름다운 하루 보내세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본 콘텐츠는 유튜브 채널 원스팜의 이용허락을 받아 유텍스트 YouText가 제작했습니다.